내가 시간과 애정을 쏟아 만든 캐릭터를 저작권으로 등록하지 않게 되면, 다른 사람들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에 제재를 가하는 게 힘들어질뿐더러, 이것을 악용하여 제삼자가 마치 자신이 만든 캐릭터인 것처럼 저작권을 먼저 등록해버릴 수 있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남의 캐릭터를 도용하는 문제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저작권 등록은 내가 손끝으로 탄생시킨 캐릭터를 지키는 방법입니다.
그렇다면 집에서 내가 만든 캐릭터 저작권을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준비물
1. 디지털 캔버스 안에 내 캐릭터의 앞, 옆, 뒤면이 나오도록 배치해줍니다.
** 여기서 중요한 점은 같은 캔버스 안에 저작권 표시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올바른 저작권 표시 방법 >
1. Ⓒ 제작년도. (저작권자) all rights reserved.
2. (C) 제작년도. (이름) all rights reserved.
3. Copyright 제작년도. (이름) all rights reserved.
4. copyright 제작년도. (이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예시) 아래의 캐릭터는 제가 2022년 7월 4일에 제작완료 한 니나(Nina) 캐릭터 입니다.
Ⓒ 2022. 김혜인 all rights reserved.
Ⓒ > copyright 표시2022. > 제작년도. ** 제작년도 작성후 끝에 꼭 마침표를 찍어주셔야 합니다.
김혜인 > 제작자 실명 ** 작가명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입증을 위해 실명을 쓰시는것을 추천합니다.
all rights reserved. > 모든 권한이 제작자에게 있다는 표시입니다.
2. 디지털 파일이 준비된 후 한국저작권위원회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https://www.cros.or.kr/psnsys/cmmn/infoPage.do?w2xPath=/ui/main/main.xml
한국저작권위원회
{"usrId":"","w2xPath":"/ui/main/main.xml"}
www.cros.or.kr
3. 오른쪽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회원가입을 통해 가입을 한 후, 일반저작물 등록을 선택합니다.
4. 온라인 등록신청을 클릭해줍니다.
5. 저작권 등록 신청서에 "아니오"에 체크가 되어있는지 확인 후,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6. 신청인 서류를 작성한 후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7. 제목에는 캐릭터의 이름을 작성해줍니다. 종류에는 미술저작물 > 응용미술 > 캐릭터를 선택해줍니다. 내용에는 내 캐릭터의 생김새나 특징, 그리고 성격등을 자세히 묘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8. 창작완료일 설정 후, 내가 이 캐릭터를 인스타, 페이스북, 블로그 또는 유튜브에 올린 날짜를 설정합니다.
공표국가를 설정 > 공표 방법 > 공표한 사이트 주소를 복사 붙여넣기 해줍니다.
** 1번에서 내가 만든 캐릭터 캔버스에 저작자 표시를 했다면 "예" 안했다면 "아니오"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위 캐릭터에 저작자 표시를 했기 때문에 "예"로 표시했습니다.
9. 내가 만든 캐릭터의 디지털 파일을 업로드 해줍니다.
10. 파일 업로드 후 전송하기를 꼭 눌러줍니다.
11. 파일이 확실히 업로드 되었는지 확인 후 저장을 눌러줍니다.
12. 신청서 왼쪽에 위치한 박스를 체크 한 뒤 작성 서류 확인, 복제물 확인을 한 번 씩 눌러 확인 후 수정 할 부분이 없다면 다음을 클릭합니다.
13. 알림메시지가 뜨면 "예"를 눌러서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14. 결제금액을 확인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15. 본인 인증을 위해 카카오 인증 또는 공동인증서를 통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16. 등록증 수령방법을 선택 후 결제버튼을 눌러줍니다.
17. 결제 완료 후 아래와 같이 등록 신청이 완료되었다고 나옵니다.
내 캐릭터는 저작권 등록을 통해 지킵시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에 출생신고가 되어있지 않은 미국시민권자 비자신청 주의사항 (0) | 2022.07.04 |
---|---|
한 번에 알아보는 기본형Tistory(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 (0) | 2022.07.03 |
I-751 작성하기(Petition to Remove Conditions on Residence) (0) | 2022.07.03 |
체류 연장 신청하기 (무비자 입국) (0) | 2022.07.03 |
F6 비자 신청하기 (0) | 2022.07.03 |
댓글